올여름 유난히 습한 더위 탓에 더 지치고 힘들다고 느껴진 적 있으시죠? <br /> <br />실제로 올여름 더위는 역대 급으로 기록된 2018년과는 조금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한낮 찜통더위도 문제지만, 밤사이 열대야가 더 비상입니다,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대급 더위가 찾아왔던 지난 2018년 여름, 강원도 홍천의 기온이 무려 41도까지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도 39.6도로 111년 만에 가장 더웠습니다. <br /> <br />여름철 한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고기압에 더해 대기 상층에는 티베트 고기압이, 대기 하층에는 중국 내륙에서 발달한 열적 고기압의 영향이 더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올여름 더위도 만만치 않은데, 장마 뒤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면서 낮 더위와 열대야 기세가 점점 세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8월 이후에는 전국 대부분으로 폭염경보가 확대한 가운데 900m 고지대에 있는 태백지역에도 폭염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습도가 높아 밤사이 강릉 등 동해안에서는 30도를 웃도는 초열대야가 나타나고, <br /> <br />서울 등 내륙에서도 최저 기온이 점차 상승하고 체감온도가 30도에 육박하며 초열대야 수준의 밤 더위가 지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올해 여름은 높은 습도와 누적된 열기 때문에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가 평년이나 2018년에 비해 빨리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뜨겁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평년보다 더 발달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강남영 / YTN 재난위원, 경북대 지리학과 교수 : 우리나라 주변의 남쪽 해역으로는 바닷물의 온도가 다른 시기에 비해 높게 형성돼있습니다. 이것은 기후적으로 반복되는 라니냐 패턴의 단상이기도 하고 게다가 온난화 영향이 가세한 것일 수가 있는데요. 공기층이 두꺼워져서 고기압이 잘 발달하는 데다 가장자리에 놓인 우리나라로는 무더운 수증기가 잘 유입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2018년이 불볕더위로 최악의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면 올여름은 폭염이 최악으로 치닫기보다는 열대야가 새로운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열기가 쌓이면서 서울 등 내륙 곳곳에서 다음 주말까지 20일 이상 열대야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잠 못 드는 밤이 길어지는 만큼 밤사이에도 선풍기와 에어컨으로 실내 적정 온도를 조절하고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는 등 철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80302022670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